[한국다중뉴스 = 정중훈 기자]

전라남도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발맞춰 각 정당 및 후보자에게 건의할 전라남도 국립의대 설립, 석유화학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등 전남 미래발전 공약과제 75건을 8일 발표했다.

전남도는 그동안 지역의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남연구원, 각계 전문가 등과 함께 국가정책 반영을 위한 ‘전남 미래발전 중대형 프로젝트’ 과제를 발굴했다.

전남도가 제시한 대선 공약과제는 미래발전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지역공약에 반영시킬 핵심과제 20건을 비롯해, 지역현안과 연계한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 국가 차원의 국정과제로 전국화할 필요가 있는 제도개선 및 국정제안 과제 20건 등 총 75건이다.

주요 핵심공약은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설립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조선·해양 AI 초격차 자율제조 특구 조성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무안국제공항 및 미래 100년 초광역 교통망 확충 등이다.

또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지구 및 K-GIM(김)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구축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문화 거점 조성 등 전남 미래발전을 견인할 신성장 프로젝트와 초광역 SOC, 농어업, 관광·문화 등 분야를 망라한 최우선 과제가 포함됐다.

특히 지난 3월 전남·광주·전북 등 호남권 3개 시·도가 협약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사업과 관련해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위한‘재생에너지 전력계통 확보’, 초광역 SOC사업인 ‘호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고흥~세종), 서해안철도(군산~목포)’ 등을 호남권 초광역 협력 선도모델 사업으로 제시했다.

20대 핵심과제 외에도 각 분야 전문가와 지역 의견을 모아 지역발전을 견인할 사업을 신성장동력, 핵심 SOC, 미래농어업, 관광·문화·휴양, 인구·복지 등 5개 분야별로 발굴,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도 발표했다.

신성장동력 분야는 ▲미래항공모빌리티 연계 남부권 초광역 항공인프라 구축 ▲글로벌 해저 환경 전력계통 개발 ▲솔라시도 AI 자율제조 실증 허브 조성 등 9개 과제, SOC 분야는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이순신대교) 국가관리 지원 ▲스마트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 ▲지방도 연륙·연도교(해상교량) 국비 지원 등 5개 과제다.

미래농어업 분야는 ▲K-wine(전통주) 산업 클러스터 조성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스마트 농업인프라 확충 등 7개 과제, 관광·문화·휴양 분야는 ▲국가대표 제2선수촌 건립 ▲ 2031 국제정원박람회 개최 ▲국립 고흥 다도해 산림치유원 조성 등 8개 과제,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인구·복지 분야는 ▲청년 특화구역 조성 ▲외국인 특화지역 조성 ▲국립청소년디딤센터 전남센터 건립 등 6개 과제다.

전남도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반드시 국가 차원의 국정 과제로 반영해야 할 정책공약으로 ▲국가 출생기본수당 신설 ▲농어민 공익수당 국가 정책화 ▲인구소멸지역 필수의료 기반 확충 ▲전남형 만원주택 전국 확대 ▲비수도권 지역 벤처기업 육성지원 특례 강화 ▲식량안보 확보를 위한 산지 쌀값 안정화 ▲농업소득안정을 위한 기금 및 직불금 10조 원 확대 등 제도 개선 및 국정 제안 과제 20건도 마련했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남이 가진 비교우위 자원과 여건을 토대로 AI 등 급변하는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전남 발전에 꼭 필요한 중대형 프로젝트를 균형있게 발굴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 각 정당과 후보자를 상대로 공약과제를 건의하고, 대선공약으로 반영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전남지역 대선공약 건의과제 설명자료

핵심과제(20건)

❶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설립

○ 정부가 '정부합동 의료개혁 담화문(‘24.3.20.)'으로 대국민에게 약속한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신설과 정원(200명) 배정'을
의대 증원과 별개로, 최우선 추진 필요

○ 목포대·순천대 통합대학교 의대신설과 함께, 상급종합병원 건립

❷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26~‘32, 여수국가산단 일원)

○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기존 석화산업의 범용품 중심 수출 의존형 전략 한계 봉착,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으로 탄소중립 목표 저해

→ 석화산업 위기 극복 및 및 탄소저감 위한 대대적 사업재편 시급

○ 특별법 제정, 여수산단·묘도 CCUS 클러스터 구축, 제2석유화학산단 지정,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산업벨트 조성 등 국가 지원

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25~‘30, 해남 솔라시도)

○ 글로벌 AI기술 패권 경쟁 심화,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구축 시급,
전남은 넓은 부지, 풍부한 전력‧용수, 우수한 인재, 지진 안전성,
RE100 실현 등 대규모 AI 인프라 조성의 최적지

→ 세계최대 규모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MOA 체결(‘25.2.26.)

○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을 국가정책사업으로 확정,
투자 촉진을 위한 ‘범부처추진협의체’ 구성해 전력·용수 등 인프라 및
외국인 투자 제도적 지원

❹ 조선·해양 AI 초격차 자율제조 특구 조성(’26~‘32, 목포, 영암, 해남)

○ 원가경쟁력을 가진 중국의 세계시장 잠식 우려로 K-조선 위기,
전남은 대형(HD현대삼호)-중형(대한조선)-소형․기자재(대불산단)가 집적된
전국 유일 조선업 클러스터 보유

○ 전남에 AI 해양 방산 글로벌 혁신특구, AI 자율 제조 특구, AI 친환경․스마트 선박 특구, AI 해상풍력 기자재 특구 등 AI 기반의 조선․해양산업 생산 특구 육성

❺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25~‘40, 전남 일원)

○ 전남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첨단산업 등 국가 성장동력 확보 및
지역균형발전 견인 필요

○ 수도권-지방 동반성장 위한 AI기반 지능형전력망 구축,
해상풍력·태양광 발전 확대 및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첨단산업 RE100 특화산단을 조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에너지 신도시 조성

❻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26~‘33, 고흥)

○ 세계 5대 우주강국 도약 위해 기존 발사인프라와 연계한 다양한
우주발사기지 및 우주탐사개발 분야 문화·기술자원의 확보 필요

○ ‘우주발사체 특화지구’로 지정된 나로우주센터 인근에
제2우주센터, 재사용발사체 발사장, 국방위성 전용 발사시설,
우주발사체 사이언스 콤플렉스 등 인프라 집적화와 경제자유구역 편입

❼ 무안국제공항,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 육성(’26~‘30, 무안·여수)

○ 세계 주요 국제공항 수준의 항행안전시설, 활주로 구축을 통한
도내 공항 안전성 강화 및 무안국제공항 위상 재정립

○ 무안공항·여수공항 인프라(조류퇴치, 레이더, 활주로 등) 구축,
서남권 항공 안전 체계 혁신을 위한 호남지방항공청 설립,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추진 제도개선 및 국가 차원의 지역개발사업 지원

❽ 미래 100년 초광역 교통망 확충(고속도로, 국도·국지도, 연륙교, 철도 등 44개 노선)

○ 고속도로 7개 노선, 국도·국지도 20개 노선, 연륙·연도교 8개 노선,
철도 9개 노선 등 중점사업을 국가계획에 반영

○ 지난 3월 전남·광주·전북 등 호남권 3개 시도가 협약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초광역 협력사업으로
‘호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고흥~세종)와 ‘서해안철도(군산~목포)’
사업을 호남권 초광역 협력의 선도모델 사업으로 추진

❾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지구 조성(’26~‘37, 무안, 함평)

○ 농축산업 분야도 AI, 데이터 산업 융복합화를 통한 첨단산업으로
대전환하여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필요

○ 국내 최대 농업 생산기지인 전남에 AI 첨단 농산업 융복합지구 조성,
국립축산과학원 함평 이전(’29)과 연계하여 AI 첨단 축산업 융복합밸리 조성

❿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문화 거점 조성(’25~‘30, 남해안권 일원)

○ 세계 관광시장에서 해양관광은 향후 30년간 연평균 5.7% 고성장 기대, 남해안의 풍부한 섬‧해양자원 활용해 세계적 해양‧관광‧문화 중심지로 육성

○ 국가 주도의 종합 추진 위한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및
남해안 종합개발청 전남 설립, 남해안 마리나 관광특구(오시아노),
남해안 국제해양레저복합센터(여수박람회장),
남해안권 체류형 관광 거점(여수·솔라시도·목포 등),
남부권 광역관광개발 사업, 여수엑스포역 광역복합환승센터 등 구축

⓫ K-GIM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구축(’25~‘30, 전남 일원)

○ 김 산업은 종자·양식·가공·수출 전 과정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비교 우위의 경쟁력 있는 품목, 한국은 전 세계 김 생산량의 70% 차지

○ 김 산업을 주도하는 전남에 국립 김 산업 진흥원, K-GIM 수출단지 조성, 국제 마른김 거래소 플랫폼 구축, 김산업 진흥구역 확대 운영,
마른김 수산업협동조합 설립, 해외 소비지 공동물류센터 구축‧운영

⓬ 지방소멸위기 극복, 전라남특별자치도 설치

○ 지방소멸 최대 위기 지역인 전남이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지방정부의 실질적 자치분권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전라남특별자치도 특별법 제정

⓭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및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25~‘35, 순천·광양)

○ 광양만권에 첨단산업기업의 산업입지 수요가 높은 상황,
전남 산업단지 포화상태로 신규 국가산단 조성 시급

○ 국가적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산단 적기 공급을 위해 순천․광양 일원에
미래첨단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 이차전지 산업 최적지 광양만권을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

⓮ 광융합 극한에너지 국가 첨단 클러스터 조성(’25~‘35, 나주)

○ 미래 원천기술 결정체인 인공태양과 고출력 레이저를 집중 육성해
글로벌 극한에너지 핵심기술 선점 필요

○ 국가 에너지산업 기반과 연계하여 글로벌 인공태양 클러스터,
고출력 레이저 산업 클러스터 구축

⓯ 서남해안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26~‘35, 전남 일원)

○ 전세계적 해양환경 오염에 따른 자원 고갈, 해양생태계 파괴 문제 심화,
전국 최다 수산물 생산지 전남의 해양환경 보호 위한 국가정책 필요

○ 여자만(보성·순천) 및 신안·무안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하고,
블루카본 실증연구센터 남해지소 설립 및 대규모 해중림 조성 등
해양생태자원 활용 탄소중립 기반 구축

⓰ 2028년 COP33 대한민국 여수(남해안·남중권) 유치(’28, 여수 등)

○ 전남·경남 남해안 남중권 12개 시·군의 COP33 공동유치로
지역 균형발전과 동서 화합 모델 제시

○ 정부의 COP33 대한민국 유치 표명 및
전남·경남 남해안 남중권(12개 시·군)을 개최도시로 선언

⓱ 전남·광주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25~‘39, 화순·광주)

○ 전남(화순백신특구)·광주의 인프라 연계하여 백신·의약품 자급화,
의료산업의 디지털화 등 차세대 국가 첨단의료산업 육성

○ 국가 바이오클러스터의 균형적 배치와 전남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첨단복합의료단지 추가 지정

⓲ 글로벌 문화산업 메카 K-디즈니 조성(’25~‘28, 순천)

○ 한국의 디즈니 육성으로 세계 최고 도시들과 경쟁하는
글로벌 문화산업 선도 및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 애니메이션 클러스터, 콘텐츠 테마타운, 국제 콘텐츠 엑스포 개최 등
K-디즈니 조성사업 추진

⓳ 전남·광주 첨단반도체 벨트 구축(’26~‘35, 무안·광주, 나주, 고흥)

○ K-국방, 우주경제 강국, AI‧에너지 메카 실현을 위해 고주파, AI,
고전력‧극한환경에 대응한 반도체 생태계 국가정책화 필요

○ 무안공항 인근·광주에 전남·광주 상생협력 위한
고주파(RF GaN/국방‧우주‧통신용) 및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
나주에 우주·에너지 관련 고전력(GaN, SIC)‧극한환경(AlN) 반도체 허브 조성,
고흥에 우주산업과 연계한 부품 개발 지원 플랫폼 구축

⓴ K-노벨문학 메카 조성(’26~‘30, 전남 일원)

○ 우리 고장 출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가치와 한국문학의
정신적 뿌리인 전남을 국내외에 알리고 K-문학의 세계화 선도

○ 한국 문학의 세계화 및 지역 문학의 가치 재발견을 위해
K-노벨문학박람회 개최, K-문학센터 설립